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AI 활용하기

생활 속 AI활용하기_페이스북 마케팅

by slowrelationship 2024. 6. 24.

생활 속 AI활용하기_페이스북 마케팅

페이스북의 마케팅의 4가지 기둥이 있다. 프로필, 페이지, 그룹, 광고이다. 프로필은 '나 브랜딩 관계 신뢰 마케팅' , 페이지는 '기업 브랜딩 콘텐츠 마케팅', 그룹은 '커뮤니티 쇼핑몰 마케팅', 광고는 '타기팅 구매전환 마케팅'이다. 이하에서 세부적으로 알아보자.

 

 

학교 계단에서 노트북을 하고 있는 대학생 모습
[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이 메신저 기능에서 비즈니스로 확대 ]

 

1. 타깃 마케팅

소상공인들은 페이스북 타깃마케팅을 통해 홍보비를 절약하면서 매출을 올리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소상공인들에게 가장 절망적인 마케팅 방식은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페이스북은 철저히 타깃 마케팅이다. 지역, 나이, 성별, 관심사 등 기본 타기팅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마케팅 4대 기둥인 개인 계정, 페이지, 그룹 그리고 광고에서 다양한 타기팅 기법을 펼칠 수 있는 무대가 있다. 최근에는 GPS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지역 상인의 경우 매장 내 몇 m 이내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다.

 

2. 바이럴마케팅

입소문 마케팅이다. 한동안 블로그 마케팅을 바이럴 마케팅으로 불렀다. 파워 블로거의 파워가 기업 운명을 좌우지할 정도로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블로그는 왜곡된 바이럴 생산지가 되었다. 누가 더 강력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가가 바이럴의 운명을 결정하게 되었다. 결국 많은 소상공인들이 블로그 마케팅에 뛰어들었다 포기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반면 페이스북은 액티브한 바이럴 효과가 있다. 페이스북은 기하급수적 확산 시스템인데 이는 일명 손가락 병사들 때문이다. 전 세계 17억 명의 손가락 병사, 대한민국 1,600만 명의 액티브한 손가락 병사가 바이럴 파도를 만든다. 페이스북은 프로그램이 먹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입소문을 타야 한다.

 

3. 그래프 마케팅

마케팅은 구조적 접근이 필요한데 내 마케팅 툴에 대한 연결(그래프) 내지는 통합하여 하나의 마케팅 구조를 만드는 경험을 만들어야 한다. 

 

4. 협업마케팅

페이스북의 구조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개인적인 마케팅툴이 아니라 집단 공동 마케팅 시스템이 선명하게 존재하고 친구를 추천해 주거나 내 페친을 다른 그룹으로 추천해 줄 수 있다. 이것이 페이스북의 협업이 가능한 근거이다. 

 

다른 이야기) 페이스북 탄생 배경

페이스북은 2004년 더 페이스북이라는 이름으로 마크 저거 버그, 더스틴모스코비츠, 크리스휴즈, 앤드류맥컬럼, 왈도세브린의 6명 학생에 의해 하버드생을 위한 소셜네트워크로 출발했다. 한 달도 채 안되어 MIT, 콜럼비아대학, 예일대학까지 퍼졌고 2014년 말 1백만 명 유저에 도달했다. 2005년 유저가 직접 사진을 올릴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었고 2006년 지금의 뉴스피드가 탄생했다. 페이스북의 대표 아이콘 '좋아요'버튼은 구글 지도를 만든 브렛테일러의 프랜드피드사에서 2007년  10월 처음 발표되었고, 2009년 8월 페이스북에 통합되었다.

#참조문헌: 4주의 기적 페이스북 마케팅( 이종근 외 지음 )